박찬 (192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찬은 1924년 충청남도 공주군 출생으로, 국학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충청남도의회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제6대, 제9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73년 제9대 총선에서 신민당 후보로 당선되었으며, 1979년 10.26 사건 이후 치러진 제10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엽연초생산조합 이사장, 풍의학원 이사장, 인하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200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원 - 맹정호
맹정호는 충남대학교 총학생회장,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을 거쳐 노무현 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을 역임하고 충청남도의회 의원, 민선 7기 서산시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현재 더불어민주당 충청남도당 부위원장이다. - 충청남도의원 - 장경순 (1926년)
장경순은 무소속으로 충청남도의회 의원, 민주당 당무위원 겸 중앙상임위원, 제5대 민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민주화추진협의회 정책연구실장과 대한민국헌정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 활동을 이어갔다. -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 - 심우영
심우영은 고려 시대 충신 심원부의 후손으로,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경상북도지사, 청와대 행정수석비서관, 총무처 장관 등 요직을 거쳐 세종문화상과 청조근정훈장을 수훈한 관료 출신이다. - 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 - 박성중
박성중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 서초구 국회의원과 서초구청장 등을 역임하고 여러 논란에도 휩싸였으며, 현재 한국생산성본부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국학대학 동문 - 구자춘
구자춘은 5·16 군사정변에 가담한 후 박정희 정부에서 제주도지사, 수산청장, 경상북도지사, 서울특별시장,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국회의원도 지낸 인물로, 서울시장 시절 서울 지하철 2호선 건설과 강남 개발을 추진했으며 군사정권 협력, 부정축재 혐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지만, 지하철 2호선 건설과 강남 개발은 주요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국학대학 동문 - 이후락
이후락은 대한민국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박정희 정권에서 요직을 거치며 권력을 행사했고 7·4 남북공동성명 체결에 기여했으나, 여러 논란과 비판 속에 은퇴 후 은둔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박찬 (192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찬 |
한자 표기 | 朴璨 |
다른 이름 | 운공 |
출생일 | 1924년 7월 16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공주군 신풍면 |
사망일 | 2007년 11월 16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본관 | 밀양(密陽)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요셉) |
직업 | 정치인, 기업인 |
학력 | |
학사 | 국학대학 철학과 |
경력 | |
정당 | 신민당 원내부총무 |
기타 | 민주자유당 특임행정촉탁위원 |
의정 활동 | |
의원 선수 | 3 |
가족 | |
자녀 | 박광민(장남) |
정당 정보 | |
정당 | 무소속 |
2. 생애
1924년 7월 16일 충청남도 공주군에서 태어났다. 충청남도 제2대 및 제3대 도의원을 지냈으며, 이후 국회로 진출하여 제6대, 제9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이 외에도 공주 엽연초 생산조합장, 풍이학원 이사장 등을 지냈다. 2007년 11월 16일 지병으로 인해 향년 83세로 사망했다.[5][3][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24년 7월 16일 충청남도 공주군에서 태어났다. 학력은 다음과 같다.
2. 2. 정치 경력
충청남도 제2대, 제3대 도의원을 지냈으며, 충청남도 도의회 부의장을 역임하며 지방 정치에서 활동했다. 공주 엽연초 생산조합에서 전임이사, 이사장, 조합장 등을 맡기도 했다.이후 중앙 정치 무대로 진출하여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다. 민주당 당무위원을 시작으로, 민정당 충청남도 지구당 부위원장, 민중당 충청남도 제3지구당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신민당에 합류하여 당무위원, 공주 및 논산 지구당 위원장, 정무위원, 훈련원장, 원내부총무 등 주요 당직을 거쳤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충청남도 공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처음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후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충청남도 논산군·공주군 선거구에서 제9대, 제10대 국회의원으로 연이어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회의원 재임 중 APU(아시아 의원 연맹) 한국 대표로 활동했으며, 이후 민주자유당 특임행정촉탁위원을 지내기도 했다.[3][4]
구분 | 내용 |
---|---|
지방 의회 | 충청남도 제2대 도의원 충청남도 제3대 도의원 충청남도 도의회 부의장 |
주요 정당 활동 | 민주당 당무위원 민정당 충청남도 지구당 부위원장 민중당 충청남도 제3지구당 위원장 신민당 당무위원, 공주/논산지구당 위원장, 정무위원, 훈련원장, 원내부총무 민주자유당 특임행정촉탁위원 |
국회의원 | 제6대 (민정당, 충남 공주군) 제9대 (민주공화당, 충남 논산군·공주군) 제10대 (민주공화당, 충남 논산군·공주군) |
국제 활동 | APU(아시아 의원 연맹) 한국 대표 |
2. 3. 기타 경력
2. 4. 사망
2007년 11월 16일, 지병으로 인해 향년 83세로 사망했다.[5][3][4]3.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결과 |
---|---|---|---|---|---|---|---|---|
1954년 | 총선 | 3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을 | 무소속 | 3,963표 (12.28%) | 3위 | 낙선 |
1960년 | 총선 | 5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을 | 민주당 | 8,153표 (20.30%) | 2위 | 낙선 |
1963년 | 총선 | 6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 민정당 | 25,810표 (46.00%) | 1위 | 당선 (초선) |
1967년 | 총선 | 7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 신민당 | 25,097표 (38.60%) | 2위 | 낙선 |
1971년 | 총선 | 8대 | 국회의원 | 충남 공주군 | 신민당 | 27,647표 (42.81%) | 2위 | 낙선 |
1973년 | 총선 | 9대 | 국회의원 | 충남 논산군·공주군 | 신민당 | 43,857표 (30.85%) | 1위 | 당선 (재선) |
1978년 | 총선 | 10대 | 국회의원 | 충남 논산군·공주군 | 무소속 | 23,934표 (14.37%) | 2위 | 당선 (3선) |
1985년 | 총선 | 12대 | 국회의원 | 충남 논산군·공주군 | 민주한국당 | 15,310표 (8.50%) | 4위 | 낙선 |
1988년 | 총선 | 13대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통일민주당 | 26,287표 (24.36%) | 3위 | 낙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8-03
[2]
웹사이트
조용필 가수 이름 크게 알린 정식데뷔곡 ‘창밖의 여자’
http://www.mdjournal[...]
2023-10-15
[3]
웹사이트
"[부고]박찬 前의원"
https://www.donga.co[...]
2022-02-06
[4]
웹사이트
"[부고] 박찬 前 국회의원"
https://www.seoul.co[...]
2022-02-06
[5]
뉴스
박찬 前 국회의원
https://www.seoul.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